글목록

2019년 5월 24일 금요일

수학교육, 어떻게 바꿀까?


토마스 에디슨 어린 시절

"선생님, 1+1이 왜 2가 돼요?"

어릴 적 읽었던 발명가 에디슨의 전기에는 그가 유년기에 자꾸 이런 이상한 질문을 한다고  교사의 타박을 받던 중에 결국은 학교를 그만두고 어머니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았다는 얘기가 나온다.

하지만 이후 어른이 된 에디슨의 발명가로서 위대한 업적을 생각하면 그의 이런 질문은 당연한 것을 당연한 것으로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음이 아니라 약속된 개념, 기호의 집합체인 수학의 근본을 묻는, 아주 날카로운 철학적 질문이었다.

초등학교가 아닌 국민학교를 다니던 시절에 나는 산수 지진아였다. 국어는 척척 100점을 받으면서도 유독 산수를 어려워 해 늘 나머지 공부를 하곤 했다.

초등학교를 거쳐 중학교에 들어가고 고등학교의 '리미트(limit)'니 '시그마(∑)'니 하는 어려운 수학기호가 나오기 전까진 반평균 이상의 수학시험 점수를 받은 걸 보면 태생이 수학둔치는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그보다는 에디슨의 이상한(?) 질문처럼 나도 수학 근본에 대한 개념 이해가 되지 않아서 막막하고 어렵기만 했던 거 같다.

예를 들면 이런 거다. 선생님이 칠판에 선분을 그려 1/2이라는 분수를 가르친다.


선생님은 0과 1의 절반이 1/2라는 분수 개념을 설명하려고 선분을 그렸지만 나는 오히려 선생님이 그린 선분 실물이 정확하게 절반이 되지 않는 점에 주목했다.

절반이 되지 않는 저 지점이 왜 1/2이 되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똑똑한 에디슨처럼 질문할 줄 몰랐던 나는그냥  괴로운 '나머지 공부'를 미련하게 해야 했다.

 오래 전에 테레비에서 북유럽국가의 수학교육을 인상깊게 본 적이 있다.

나무들이 많은 교실 밖 수업이었는데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여러 종류의 자를 나눠주며 주위 나무들의 둘레를 재보게 하였다. 아이들은 저마다 나무둘레를 줄자로 재보다가 주변 다른 사물의 길이에도 관심을 가졌다. 나중에는 친구나 자기 몸의 팔, 다리를 장난스럽게 재보기도 했다.

아이들이 길이, 둘레, 높이, 거리 등의 개념을 실물로 직관적으로 배운다는 게 참 신선하고 좋게 보였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100㎝=1m', 이런 식으로 센티미터, 미터, 그램, 킬로그램, 밀리리터, 리터 등 여러 수치단위를 학교에서 배우지만 막상 어른이 되었을 때 몇미터, 몇 제곱미터 등의 숫자만으로 그 실물을 머릿 속에 가늠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지식과 삶이 괴리된 결과라고 생각한다.

요 며칠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국회의원의 유튜브채널 《박경미TV》를 자주 본다.

최근 박의원이 《김어준의 다스뵈이다》에 출연했는데, 정치에 입문하기 전에 수학교육학과 교수였던 이력과 수학을 주제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한다는 사실이 소개됐다.

나도 호기심으로 보기 시작했는데 수학을 일상과 연결하여 풀어낸 내용이 재미있고 꽤 유익하다.

유튜브 채널 《박경미TV》 中  '상상도 못한 정체, 숫자 탄생의 비밀'

우리가 수학에 접근하는 교육방식도 이렇게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삶과 따로 노는 머릿 속의 지식, 똑똑한 사람들의 전유물로 남는 지식이 아니라 배운 지식이 삶의 지혜가 될 수 있는 그런 공부와 교육이 되어야 한다.

▶사진 출처|
- 뉴스랜드 http://newsland.com/community/5652/content/ne-izobretai-togo-na-chto-net-sprosa-chelovek-kotoryi-pridumal-vsio/6471760
- 박경미TV https://www.youtube.com/watch?v=P5BvJXAZYK4&t=50s

2019년 5월 17일 금요일

'인싸' 와 '아싸'

출처:PixaBay

'인싸'와 '아싸'라는 말이 있다.

나는 이 말의 뜻이 'insider', 'outsider'라는 걸 최근에야 처음 알게 되었다.

사람을 'insider', 'outsider'로 구분하는 것도 건강하지 못한 사회심리의 반영이라고 생각하지만 젊은이들이 은어처럼 쓰는 말을 지금 우리사회가 무책임하게 유행어로 남발하는 문제를 더 지적하고 싶다.

항상 하는 얘기지만 말과 글은 누구나 쉽게 쓸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인싸', '아싸'는 어떤 계층이나 세대에게는 의미를 알 수 없는 낯설고 익숙하지 않은 말일 수 있다. 뜻을 모르는 사람은 대화와 소통에 장애가 생기거나 소외감을 느낄 수도 있다.

또, 영어에 익숙한 젊은 세대가 언론이 하는 버릇(예를 들어 '기획재정부', '금융감독원', '한국수력원자력'을 '기재부', '금감원', '한수원' 식의 줄임말로 쓰는 따위)을 따라 줄임말로 만들어 쓰는 일은 우리말이 가진 장점과 아름다움을 해치는 바람직하지 못한 언어습관이다.

이런 신조어의 문제점을 경계하고 어법에 맞는 우리말로 순화해 사용하는 우리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

KBS2TV 《해피투게더》와 MBC 《마이리틀텔레비전》

※ 미디어에서 목격하는 '인싸'와 '아싸'의 의미가 말하는 사람에 따라 결이 조금씩 다르게 쓰인다. 어쩌면 사람들에게 이 말이 빠르게 퍼지면서 의미확대나 의미파생이 이루어진 결과인지 모른다. 

;핵심 vs 주변, 중심 vs 외곽, 주류 vs 비주류, 인기있는 vs 인기없는, 다른 사람들을 몰고 다니는 사람 vs 다른 사람들과 따로 놀거나 외떨어져 있는 사람, 유명인 vs 범인(凡人), (능력 이나 인맥 따위가) 좋은 사람 vs 보잘 것 없는 사람 등등...


추천 게시글

영화 《광해》:이병헌이 보여준 정치리더

2012년에 개봉한 영화 《광해:왕이 된 남자》를 다시 보면서 지금 우리 사회를 저런 정치리더가 이끌고 있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사월이의 슬픈 가족사연을 듣는 하선 사월 : 소인의 아비는 산골 소작농이었사옵니다. 그런데 어느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