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목록

2016년 2월 29일 월요일

감색, 곤색 그리고 군청색

지난 토요일 관심 깊게 읽은 한겨레신문 기사가 있다.

☞ 기사보기 "한겨레신문"

이인수 총장의 수원대 사학비리에 관한 연재기사인데 기사내용이 우리 주류사회의 추악한 민낯을 다루는 좋은 기사여서 아주 인상적으로 읽었다.

그런데 기사본문 중에 단어 하나가 눈에 거슬린다.


"이인수(64) 총장은 감색 양복 차림으로 재판 예정 시간보다 10분 일찍 법원에 도착했다."

여기서 이총장이 입고 법원에 갔다는 양복의 색깔인 '감색'이란 어떤 색일까?
인터넷 구글Google을 통해 적당한 사진을 검색해 본다.

감색 양복

내 어릴적 어른들이 '곤색'이라고 부른 색깔이다. (초등학교 미술시간에 '왕자표 크레파스'를 쓰던 그때 아이들은 이 색깔을 '군청색'으로도 불렀다.) 

그럼 '곤색'이 어떻게 '감색'이 됐을까? 곤색의 '곤-'은 일본말 'こんいろ(紺色)'에서 유래한 말이다. 이 말의 한자인 '紺色'을 우리발음으로 그대로 옮겨 적은 것이 '감색'이다.

그러나 '곤색, 군청색'을 가리켜 '감색'이라 부르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 우리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단어 '감'은 '감나무의 열매'를 말한다. 

나만 하더라도 '감색'이란 말을 평소에 잘 쓰지 않을뿐더러 과일 '감'의 주홍색을 먼저 떠올리기 쉽다. 어른이 되어 '감색'이란 단어를 처음 접했을 때, 난 이 말이 어릴적부터 나한테 익숙했던 '곤색, 군청색'을 가리키는 낱말이라곤 생각도 못했다.

의미의 혼동을 줄 수 있는 일본식 한자말 '감색'을 대신해 많은 사람들이 쉽고 자연스럽게 쓸 수 있는 고운 우리말로 바꿔 사용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쪽빛
※ 군청색? 아니면 '짙은·진한 쪽빛' 같은 말 어떨까?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추천 게시글

영화 《광해》:이병헌이 보여준 정치리더

2012년에 개봉한 영화 《광해:왕이 된 남자》를 다시 보면서 지금 우리 사회를 저런 정치리더가 이끌고 있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사월이의 슬픈 가족사연을 듣는 하선 사월 : 소인의 아비는 산골 소작농이었사옵니다. 그런데 어느 날...